2025/06/09 2

도서관의 방역 시스템은 어떻게 진화했나? 위생 관리 프로토콜 정리

1. 감염병 시대, 도서관 운영의 새로운 기준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 공공기관의 운영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켰고, 도서관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간 도서관은 다중이용시설로서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며 지식과 문화를 나누는 열린 공간이었지만, 감염병 확산이라는 새로운 위험요소는 이 열린 특성을 정비하도록 만들었다. 특히 공공도서관은 일일 이용자 수가 수백에서 수천 명에 이르기 때문에 감염병에 대한 대응이 늦어질 경우 지역사회 감염 확산의 기점이 될 수 있는 구조였다. 이에 따라 도서관의 방역 시스템은 단순한 소독이나 마스크 착용 권고를 넘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위생 관리 프로토콜로 발전하게 되었다.초기에는 마스크 착용, 손소독제 비치, 거리두기 등 기본적 위생 수칙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하지..

사서 2025.06.09

비대면 서비스는 선택 아닌 필수: 도서관의 디지털 전환 사례 분석

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은 도서관의 생존 전략2020년 초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은 도서관 운영에 전례 없는 변화를 가져왔다.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고 사람 간 거리를 확보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 도서관은 일시 휴관, 부분 개방, 사전예약제 운영 등 다양한 방식을 도입했지만, 궁극적으로 생존을 위해서는 **‘비대면 서비스 체계로의 급속한 전환’**이 요구되었다. 기존의 종이 기반 대출 중심 서비스는 급격히 축소되었고, 이용자의 도서관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의 도입이 본격화되었다.이러한 흐름은 단순히 위기를 넘기기 위한 임시방편이 아니었다. 정보 이용자의 접근성과 정보 소비 방식 자체가 빠르게 디지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었기에, 도서관 역시 물리적 공간 중심의 서비스..

사서 202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