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9 2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만든 도서관 용품 사용 사례: 종이봉투 대신 다회용 가방, 옥수수 전분 필름 책커버 등

1. 도서관도 ‘소비’를 줄여야 한다: 용품의 지속 가능성 재고도서관은 기본적으로 공공 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공간이지만,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소모성 물품을 꾸준히 소비하는 구조이기도 하다. 대출용 포장봉투, 책커버, 자료 분류 스티커, 이용자용 필기구와 안내 리플릿 등 소재 자체가 일회용 중심으로 설계된 용품들이 많아 그만큼 폐기물 발생과 자원 낭비 문제를 야기해 왔다. 특히 이용자 수가 많은 대형 도서관일수록 이러한 용품 소비량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며, 종이와 플라스틱 쓰레기가 혼합되어 배출되는 구조는 재활용의 효율성까지 저하시킨다는 비판을 받아왔다.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도서관 운영의 전반에 걸쳐 ‘소비되는 자원의 지속 가능성’을 점검하고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국내외로 확산되고 있다. 그 중..

사서 2025.06.29

지속 가능한 조명과 냉난방 시스템 운영법LED 교체, 자동 온도조절 시스템, 자연채광 활용 등

1. 도서관 에너지 소비의 주요 축, 조명과 냉난방공공 도서관은 다양한 연령과 목적의 이용자들이 장시간 머무는 공간으로, 안정적이고 쾌적한 환경 유지를 위한 조명과 냉난방 시스템의 지속적인 운영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전체 에너지 소비의 상당 비율을 차지하며, 탄소 배출량 증가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특히 전통적인 형광등 조명, 중앙집중식 냉난방, 단열이 부족한 구조 등은 에너지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개선이 시급한 요소로 지적되어 왔다.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사회 전환이 국가적 과제로 떠오르면서, 도서관 역시 에너지 소비 구조의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외 도서관들은 조명, 냉난방, 자연광 활용 등 주요 설비 시스템의 친환경적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단순한 ..

사서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