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8 2

음성 인식 도우미, 도서관에 등장하다.

1. 도서관에 등장한 음성 인식 기술: 새로운 정보 접근 방식의 탄생디지털 기술이 도서관 현장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가운데, 최근 각광받고 있는 혁신 기술 중 하나는 바로 음성 인식 기반의 스마트 스피커 도입이다. 기존 도서관 이용은 키오스크나 웹사이트, 검색용 OPAC 시스템 등 ‘화면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음성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말로 하는 도서관 이용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아마존의 Alexa, 구글 어시스턴트, 네이버의 클로바 같은 대표적인 음성 비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전용 스킬(skill)이나 챗봇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고령자, 시각장애인, 디지털 소외 계층에게 정보 접근의 문턱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예를 들어 “근처 공공도서관 운..

사서 2025.06.18

자동화 분류 시스템의 진화 , AI 기반 서지 분류 기술과 기존 분류 체계와의 융합 가능성

1. 자동화 분류의 역사와 현재: 인간 중심에서 기계 중심으로의 전환도서관에서 서지 분류는 단순한 도서 배열을 넘어, 지식 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이용자에게 접근성을 제공하는 핵심적 작업이다. 전통적으로는 사서가 도서의 주제를 파악하고, DDC(듀이십진분류법), LCC(미국의회도서관 분류법), KDC(한국십진분류법) 등 정립된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수작업으로 분류 번호를 부여했다. 그러나 자료의 폭증과 디지털 콘텐츠의 확산으로 인해 수작업 분류의 한계가 뚜렷해지면서, 2000년대 초반부터 자동화 분류 시스템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초기 자동화 시스템은 키워드 추출과 단어 빈도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정해진 규칙(rule-based)으로 분류 번호를 추천하는 수준이었다. 이는 정형적인 텍스트에는 유용..

사서 202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