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3 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서의 업무 재구성 및 효율화 전략

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서 직무의 근본적 전환점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 도서관의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도서관은 그간의 대면 중심 운영에서 벗어나, 비대면 정보 제공, 디지털 콘텐츠 확대, 방역 중심의 시설관리 등 새로운 업무 영역을 빠르게 흡수해야 했다. 이 변화는 단지 일시적인 대응이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확장되어야 할 새로운 기준이 되었다. 사서의 역할 역시 단순히 자료를 정리하고 대출을 지원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디지털 정보 관리, 이용자 맞춤형 정보 큐레이션, 비대면 소통 역량, 커뮤니티 연계 기획력 등 복합적인 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즉, 팬데믹은 사서 직무의 '재정의'를 촉발시킨 전환점이 되었고, 이 흐름은 사서 업무 구조의..

사서 2025.06.13

지역 커뮤니티 허브로서 도서관의 역할 재정립

1. 전통적 이미지에서 탈피한 도서관, 커뮤니티 중심지로의 변화과거 도서관은 정숙한 분위기 속에서 책을 읽고 공부하는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의 폭발적 증가와 사회 구조의 변화, 주민들의 다양한 문화적·사회적 욕구는 더 이상 도서관이 단순한 '자료 보관소'로서만 존재하기를 허락하지 않는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읽는 공간이 아니라, 주민들이 만나고 소통하며 함께 성장하는 커뮤니티의 중심지로 재정립되고 있다. 이제 도서관은 더 이상 조용히 책만 읽는 공간이 아니라, 아이들이 뛰놀고 어르신들이 대화하며 청년들이 모여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열린 생활문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단지 공간 구성의 문제를 넘어 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

사서 2025.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