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2

책 없는 도서관 가능한가?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대안

1. 책 없는 도서관, 새로운 상상의 출발점인가디지털 기술의 확산은 도서관이라는 공간의 개념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종이책이 아닌 전자책, 영상, 오디오,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디지털 자료들이 도서관의 주요 콘텐츠로 자리 잡으면서, ‘책 없는 도서관’이라는 개념도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실제로 미국 텍사스의 ‘비블리오테크(BiblioTech)’는 세계 최초의 완전 디지털 도서관을 표방하며 종이책 없는 도서관 모델을 구현했고, 국내에서도 일부 대학이나 지자체에서 디지털 열람 중심의 도서관을 설계 중이다. 이러한 변화는 정보 접근성과 공간 활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한 즉시 정보 제공은 젊은 세대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며, 공간 측면에서도 유연한 ..

사서 2025.05.09

전자책 도서관 vs 종이책 도서관

1. 디지털 전환 시대, 두 도서관 모델의 공존디지털 기술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정보의 저장, 유통, 접근 방식이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도서관 역시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서 있으며, 전통적인 종이책 중심의 도서관에서 전자책 도서관으로의 확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이책 도서관은 여전히 사람들에게 물리적 공간 안에서 책을 직접 만지고 읽는 아날로그적 경험을 제공하는 반면, 전자책 도서관은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앞세운다. 두 도서관은 각기 다른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단순한 경쟁 관계라기보다는 서로 보완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정보 서비스 모델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특히 팬데믹 이후 비대면 정보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전자책 도서관의 활용도는 급격히 증가했지..

사서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