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2

열람 및 대출 데이터 분석 기반 큐레이션

1.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의 시대, 도서관 서비스의 변화최근 도서관 서비스는 ‘개인화’와 ‘맞춤형 정보 제공’이라는 패러다임 전환을 겪고 있다. 이는 단순히 다양한 자료를 소장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이용자의 정보 이용 행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에 맞는 콘텐츠를 제시하는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나타난 변화다. 특히 열람 및 대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은 현재 이용자들의 관심사, 자료 이용 빈도, 장르 선호도, 특정 시기별 인기 주제 등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예를 들어, 한 지역의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도서의 대출이 특정 계절에 집중된다거나, 청소년들이 방학 기간에 자기계발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면, 도서관은 그에 맞는 전시 기획,..

사서 2025.05.07

메타버스 속 사서의 역할?

1. 가상 공간, 사서의 새로운 무대메타버스란 단어는 이제 더 이상 생소하지 않다. 가상 공간과 현실 세계가 혼합된 이 디지털 환경은 소셜 네트워크, 교육, 문화, 경제 활동까지 포괄하며 일상의 새로운 일부로 자리 잡고 있다. 도서관 역시 이 흐름에서 예외는 아니며, 전통적인 물리 공간에서 벗어나 메타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다. 이미 일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은 메타버스 기반 도서관을 구축하여 가상 공간에서 자료 검색, 독서모임, 전시 관람, 강연회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은 단지 형식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사서의 정체성과 업무 범위를 본질적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타버스 속 도서관은 단순한 전자책 열람을 넘어서, 아바타 간 상호작용, 콘텐츠 큐..

사서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