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의 시대, 도서관 서비스의 변화최근 도서관 서비스는 ‘개인화’와 ‘맞춤형 정보 제공’이라는 패러다임 전환을 겪고 있다. 이는 단순히 다양한 자료를 소장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이용자의 정보 이용 행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에 맞는 콘텐츠를 제시하는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나타난 변화다. 특히 열람 및 대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은 현재 이용자들의 관심사, 자료 이용 빈도, 장르 선호도, 특정 시기별 인기 주제 등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예를 들어, 한 지역의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도서의 대출이 특정 계절에 집중된다거나, 청소년들이 방학 기간에 자기계발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면, 도서관은 그에 맞는 전시 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