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데이터 시대, 도서관도 예외일 수 없다디지털 전환은 도서관의 운영 방식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단순한 책 대출 기록만을 관리하던 과거와 달리, 오늘날의 공공도서관은 방문 기록, 온라인 검색어, 프로그램 참여 이력, 열람실 이용 패턴, 전자책 열람 통계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도서관 서비스를 개인 맞춤형으로 개선하거나, 지역 사회의 관심사를 파악해 정책과 프로그램에 반영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그러나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이 보편화되면서, 이용자 프라이버시와 정보 윤리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으로서 도서관이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누구와 공유하며, 어디까지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을 경우, 이용자의 신뢰를 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