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2

커뮤니티 기반 도서관 프로그램 설계

1. 도서관은 커뮤니티의 허브가 될 수 있을까현대의 도서관은 단순한 장서 보관소를 넘어 지역사회의 삶과 긴밀히 연결된 복합문화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정보 접근권이라는 전통적 기능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그 못지않게 도서관은 주민들이 함께 모이고 배우고 나눌 수 있는 공동체 기반의 사회적 장소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도시화,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지역 인구 감소 등으로 인해 지역 내 물리적·사회적 단절이 심화되는 가운데, 도서관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을 회복하는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커뮤니티 기반 도서관 프로그램은 바로 이 연결의 매개체로서 설계된다. 그것은 도서관이 단지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벗어나,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주도하는 문화적 실천의 장으로 전환되는 중..

사서 2025.05.11

마을 기록관, 지역 아카이빙의 중요성

1. 기록되지 않으면 잊힌다: 마을 기록관의 의미사람은 자신을 기억함으로써 존재를 증명하고, 공동체는 그 안에 축적된 이야기를 통해 정체성을 형성한다. 이러한 원리는 도시나 국가뿐 아니라, 작은 마을 공동체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는 일상의 흔적, 생활 속 이야기,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제대로 기록하지 못한 채 시대의 흐름 속에 흘려보낸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도시화나 재개발이 진행되면 오래된 마을의 이름, 풍경, 사투리, 직업, 사람들까지 흔적 없이 사라지는 일이 흔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등장한 ‘마을 기록관’은 단순한 자료 보관소가 아닌, 한 마을의 역사와 문화를 기억하고 되살리는 살아 있는 플랫폼이다. 지역 주민의 구술 기록, 오래된 사진, 고문서, 생활도구, 마을지도, ..

사서 2025.05.11